본문 바로가기

신봉자 만들었던 쉐보레 판매량 꼴찌가 된 이유 : 말리부, 임팔라 등 차는 좋았지만 가격 정책 실패

Kwon_river 2025. 3. 12.

GM의 산하 브랜드인 쉐보레는 한때 우리나라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며 신봉자를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쉐보레 + 이슬람의 합성어인 쉐슬람이라는 단어까지 만들어지며 쉐보레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은 다른 차를 사지 못 하고 용납조차 하지 않을 만큼 신뢰가 엄청났습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나기도 전에 쉐보레는 판매량 꼴찌 자리로 내려가며 판매량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요. 말리부, 임팔라, 스파크 등 경쟁 차종과 비교했을 때 충분히 좋은 성능을 가졌음에도 판매가 꼴찌가 된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쉐보레-말리부
인터넷 슈퍼카 쉐보레 말리부

 

쉐보레 자동차가 인기가 많았던 이유

쉐보레 차량들이 국내에서 인기가 많았던 이유가 여러 가지 있는데요. 간략하게 3개만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러한 이유들 외에도 GM의 오랜 역사, 강력한 머슬카 카마로의 존재 등이 있었습니다.

 

1. 전신인 대우자동차의 인기

쉐보레가 되기 전에는 대우 자동차였는데요. 파산하기 전까지만 해도 현대, 기아와 경쟁하며 엄청난 인기를 누렸던 브랜드입니다. 로얄 프린스, 르망, 에스페로, 누비라 등 많은 인기 차량을 만들었던 브랜드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었는데요. 파산 이후 GM이 인수합병하면서 GM대우로 불리다가 쉐보레로 변경되었습니다.

 

라세티가 크루즈로, 마티즈가 스파크로 이어지면서 대우의 충성 고객들을 자연스럽게 흡수할 수 있었고 판매량도 자연스럽게 이어받았습니다. 덕분에 브랜드 변경 초기에도 순항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대우 자동차를 모르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에 큰 역할을 못하고는 있습니다.

 

2. 미국차 특유의 내구성과 기본기

쉐보레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인 기본기가 뛰어난 차량이라는 것입니다. 현대자동차를 직진조차 못하는 차량으로 비난하면서 안정적으로 잘 가고, 잘 서는 자동차로 항상 쉐보레 자동차를 손꼽습니다.

 

특히 미국이라는 곳 자체가 자동차가 곧 생활이기 때문에 튼튼한 차량을 만들 수밖에 없는데요. 때문에 뛰어난 내구성을 가진 것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다만, 이제는 잘 가고, 잘 서고는 모든 자동차의 기본이 되었기 때문에 쉐보레 만의 강점에서 많이 퇴색되었습니다.

 

3. 현대자동차보다 뛰어났던 외관 디자인

자동차 디자인은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디자인이 무조건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동시대 출시되었던 현대 차량보다는 예뻤습니다. 기아의 타이거 노즈 디자인이 워낙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이에 비한다면 조금 아쉬움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5~10년 지난 말리부는 지금 봐도 깔끔하고 정돈된, 마치 정장을 입은 몸 좋은 남자 같은 느낌이 들죠. 물론 쉐보레 특유의 투박한 실내는 선뜻 구매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했지만요.

 

쉐보레-임팔라
준대형임에도 날렵함이 돋보였던 임팔라

 

그럼에도 판매량 꼴찌가 된 이유

많은 사랑을 받았음에도 현재는 판매량 꼴찌가 된 이유는 장점을 뛰어넘는 문제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1. 동급 모델 대비 비쌌던 가격

차종 연식 가장 낮은 트림 가격 가장 높은 트림 가격
말리부 2.0 가솔린 2012년 2,195 2,963
2016년 2,459 3,089
2019년 (터보) 3,022 3,249
쏘나타 2.0 가솔린 2012년 2,040 2,785
2016년 2,204 2,901
2019년 2,288 3,207
임팔라 2.5 가솔린 2017년 3,587 3,999
2019년 3,350 3,756
그랜저 2.4 가솔린 2017년 3,055 3,375
그랜저 2.5 가솔린 2019년 3,294 3,681
캡티바 2.0 디젤 2012년 2,608 2,826
2015년 2,741 3,125
쏘렌토 2.0 디젤

2012년 2,630 3,390
2015년 2,765 3,320

 

말리부와 쏘나타가 동급, 임팔라와 그랜저가 동급, 캡티바와 쏘렌토가 동급인데요. 전체적으로 쉐보레 차량의 가격이 높은 편이고, 쏘렌토만 더 비싸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다만 캡티바의 인기는 쏘렌토에 비해 원래도 적었기 때문에 가격 정책을 위처럼 펼친 것 같습니다.

 

쏘나타, 그랜저의 판매량을 위협했던 말리부, 임팔라는 너무나 높은 가격 때문에 선뜻 구매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아래에서도 설명하겠지만, 미국차 특유의 낮은 연비와 비싼 구매 가격은 소비자에게 진입 장벽이 되었습니다.

 

2. 수입차 못지않은 유지비

국산차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저렴한 유지비와 수리비, 많은 서비스센터인데요. 르노와 쉐보레는 국산차로 불리기는 했지만 서비스 센터의 숫자도 현대, 기아에 비해 적었으며 수리 기간도 길었고, 수리비도 굉장히 비쌌습니다.

 

유지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연비는 동급 현대, 기아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편이었습니다. 미국차 특유의 튼튼하고 무거운 자동차를 끌고 가려니 연비가 낮아질 수밖에 없었는데요. 튼튼하지만 사고가 안 나면 유류비가 많이 나가고, 사고가 나면 덜 다치지만 수리비가 많이 나가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결과적으로 사고가 나지 않는다면 연비가 좋은 현대, 기아 자동차가 더 매력적인 제품으로 보였으며, 사고가 났을 때 덜 다치는 점을 뺀다면 비용적으로 메리트가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나마도 고속으로 달리다 사고가 나면 대형 트럭 수준의 차가 아니라면 크게 다치는 것은 마찬가지죠.

 

쉐보레 수리비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많이 있는데요. 구글에 쉐보레 수리비를 검색하면 굉장히 많은 글이 있습니다. 저는 쉐보레는 아니지만 같은 미국차인 포드 차량을 타고 있는데요. 범퍼 교환에 400만 원이 들어가는 등 웬만한 독일차보다 비싼 비용이 나갑니다.

 

 

이렇게 높은 유지비와 낮은 수리 편의성, 자가정비성은 점차 쉐보레를 선택하기 어려운 점이 되었습니다. 마니아들에게는 좋을지언정 일반 대중에게는 불편하면서도 돈만 많이 먹는 차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쉐보레-캡티바

 

3. 단종 또 단종, 줄어드는 라인업

높은 판매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동차 라인업을 가져야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한 차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한 달에 1만 대를 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많은 차종을 가지는 것이 유리한데요. 쉐보레는 판매량과는 상관없다는 듯이 기존에 판매하던 차량을 수 없이 단종시켜 버렸습니다.

 

높은 판매량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단종된 비운의 차량이 바로 스파크인데요. 대우 마티즈부터 이어져왔던 경차의 한 축을 그냥 없애버렸습니다. 심지어 판매량이 그렇게 낮지는 않았는데도 말입니다. 스파크는 2022년 9월 단종되었는데 같은 해 8월에는 1,198대가 판매되며 전체 30위, 쉐보레 내에서 판매량은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줄어든 라인업은 스파크뿐이 아닌데요. 크루즈, 말리부, 임팔라와 같은 세단을 전부 단종하였으며, 카마로, 올란도, 라보, 다마스 등의 차량도 단종시켜 버렸습니다. 그러면서 SUV 전문 브랜드로 탈바꿈을 시도했는데요. 역시나 너무 높은 가격 때문에 판매량은 계속 감소했습니다.

 

 

픽업트럭 콜로라도 가격 상승, 이제 저렴한 자동차는 없어질 수입차 브랜드 쉐보레

쉐보레는 신형 콜로라도를 7,259만 원에 출시하면서 기존 모델 대비 가격을 최대 3,000만 원 이상 올렸습니다. 특히 모델 체인지 직전 600만 원의 할인까지 있었기 때문에 그를 합산하면 더한 가격

kwonriver.co.kr


 

쉐보레 자동차들은 인터넷 슈퍼카로도 불리며 굉장히 많은 신봉자를 만들었던 브랜드입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조가 테슬라 쪽으로 많이 넘어갔는데요. 그럼에도 쉐보레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GM은 이러한 쉐보레를 더 성장시킬 생각은 없는 것 같은데요. 신차 출시가 더디고 국내에서 생산한 차량을 한국에서 판매하기보다는 해외로 수출하는데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 때문일까요? 한국에서 콜벳 C8도 나온다는 루머만 돌고 정작 출시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 메르세데스 벤츠 이미지 추락

 

메르세데스 벤츠 이미지 추락 이유와 앞으로의 방향성 예측 : 이제는 BMW가 1위

메르세데스 벤츠는 오랫동안 한국에서 최고의 수입차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유려하면서도 화려한 벤츠는 오랫동안 한국에서 최고의 수입차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유려한 외관 디자인과 화려한

kwonriver.co.kr

🚗 아우디 몰락의 이유

 

"독일3사" 잘나가던 아우디는 왜 이렇게 된걸까? 중고차도 피해야 하는 아우디 몰락의 이유

2010년대만 해도 벤츠, BMW, 아우디는 독일 3사로 불리며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판매량 1,2,3위를 항상 독차지하는 브랜드였습니다. 그러던 2010년대 말부터 아우디 몰락이 시작했고 이제는 독일 2

kwonriver.co.kr

🚗 콜벳 C8 국내 출시 여부

 

쉐보레 콜벳 C8을 갖고 싶은 이유, 그리고 국내 출시 여부

제 드림카는 페라리지만 현실적으로 구매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일단 금액이 3억을 넘어가기 때문에 그 돈이면 아파트를 사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들 정도인데요. 고배기량의 미드쉽

kwonriver.co.kr